• Post author: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의 필수요소가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으며 쇼핑도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친구와 대화를 나눌수도 있습니다. 또한 방대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스마트폰은 점점 일상생활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데, 장애인에게 있어 스마트폰은 아직 많은 문턱을 넘어야 합니다. 비장애인 기준으로 제작된 스마트폰의 각종 기능 및 서비스는 장애인을 밀어내곤 합니다. 이는 정보격차의 문제로 접근성은 나이불문,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든지 모든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웹 접근성’ 개념은 모바일로 중심축이 옮겨지고 있습니다.

목차

스마트폰에서의 모바일 접근성
모든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
모바일로의 확장

모바일-접근성

스마트폰에서의 모바일 접근성

모바일 기기 자체가 나이를 불문하고 장애여부를 불문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접근성을 제공해야 모바일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컨텐츠들이 접근성을 준수해야 합니다. 다시말해 폰 제조사와 앱 서비스 제공자 둘 모두 접근성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모바일 접근성은 보장될 수 없습니다. 먼저 모바일 기기 자체의 인터페이스 접근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애플과 구글은 운영체제 차원에서 접근성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애플 iOS는 ‘손쉬운 사용’으로 접근성 기능을 제공하고 계속해서 개선해왔습니다. 또한 화면에 나타난 모든 글자를 읽어주는 ‘보이스오버’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표적인 접근성 기능입니다. 화면을 보지 못하는 사람들이 청각으로 화면을 상상할 수 있게끔 도와줍니다. iOS11 부터는 이미지를 인식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이미지를 묘사해주기도 합니다. 화면 속 인물의 표정 등을 묘사해주기도 하며 이미지 속 글씨도 읽어줍니다. 색맹, 시력 장애를 보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조절’ 기능도 있고 글씨를 읽는데 있어 더 쉽게 읽을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서체 조정’ 기능이 있습니다. 카메라로 비춘 것을 확대하여 볼 수 있는 디지털 돋보기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토크백’은 안드로이드의 대표적인 접근성 기능입니다. iOS의 보이스오버 기능과 흡사하며 화면을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능입니다. iOS에 비해 안드로이드의 접근성 기능이 별로라는 평가가 많았지만 현재는 개선과 보완을 통해 기능이 향상 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시력이 좋지 않은 시각장애인을 위해 화면을 잘 볼 수 있게끔 고대비 환경을 지원합니다. 갤럭시 S9 모델부터 글자와 배경색상을 다르게한 고대비 키보드 3종을 추가하였으며, 삼성 인터넷 앱에서도 역시 고대비 모드를 지원합니다.

모바일-접근성

모든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

모바일 컨텐츠 및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하는 접근성 기기에 맞추어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져야 합니다. 모바일 APP의 접근성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대체텍스트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만들어진 컨텐츠에 대해 텍스트로도 그 뜻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것을 말합니다. 보이스오버 등 화면을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능이 정상작동 되기 위해서는 이미지에 대한 대체텍스트가 필수입니다.

초점 이동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기능입니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여 기능을 활성화 하는데 이를 초점이라고 합니다. 시각 장애인은 초점이 적용되는 방법을 다르게 하여 순차적으로 초점을 이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화면을 보지 않고도 화면을 누르는 순서만으로도 활성화 된 기능이 어떤 기능인지 파악할 수 있는 식입니다.

또한 단수화한 터치 동작이 지원되어야 합니다. 멀티터치, 슬라이드, 드래그 앤 드랍 등 복잡한 터치 동작을 단순한 터치 동작으로 대체할 방법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색맹 또는 시력 장애를 가진 이들도 화면의 정보를 색과 관계없이 인식 가능하게 해야 합니다. 흑백 화면에서도 똑같이 의미가 전달 되어야 하고, 시인성이 높을수록 대비를 높이는 기능 등이 제공 되어야 합니다.

또한 청각장애인을 위해 음성이 추가된 컨텐츠를 이용할 때 동등한 정보가 전달 될 수 있게끔 자막을 넣거나 수화를 넣는 등의 수단을 넣어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성 디자인은 누군가를 위한 배려가 아닌 모두를 위한 디자인 입니다. 시혜적 시선에서 벗어나서 모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핸 가념으로 모바일 접근성을 접근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모바일로의 확장

우리나라에서도 물론 접근성과 관련되어 있는 법 조항이 있습니다. 다만 주로 모바일이 아닌 웹 접근성에 한정된 내용이기 때문에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이러한 비판을 받아들이고 최근에는 관련 법 조항들에 대한 개정이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웹 접근성 품질인증에 대한 의무화 조항도 응용 소프트웨어 접근성 품질인증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에 맞춰 스마트폰 APP 개발자는 인증기관을 통하여 품질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이 외에도 장애인복지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과 관련한 법률 등이 장애인에게 동등한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